자유게시판

들이잡전

최근 댓글

진바실 농사력


Follow ykwoo3 on Twitter

나물 전성시대

덤바우잡설 조회 수 110179 추천 수 0 2013.04.23 19:16:42
 우리는 식재료가 가진 특성에 기대 각별한 맛을 느낀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맛이라는 것은 주관적일뿐 아니라 대단히 편파이어서 각종 음식에 대해 공공연히 ‘맛을 모른다.’ 또는 ‘먹을 줄 모른다.’라는 말조차 하는 것이다. 더구나 온갖 향신료와 식품첨가제, 가공식품 등으로 인해 우리의 혀는 마비 지경에 이르러 맛을 극찬하는 표현이 고작 ‘입에서 살살 녹는다.’라는 말로 통일되는 경향마저 보이는 것인지도 모른다

 농사를 짓는 많은 이들이 골머리 썩는 주제가 당도와 식미감이다. 과일이라면 무조건 달아야 하고, 씹히는 맛은 부드러워야 한다는 것이 지상의 과제다. 이렇게 반문할 것이다. 제대로 생산된 농산물이라면 당연히 그래야 하는 것 아닌가라고. 그냥 이렇게 답해보자. 자두와 배는 서로 많이 다르게 단 맛을 내는 것이 정상이라고. 입에서 살살 녹는 상추는 그 본연의 속성을 상실했을지도 모른다고. 기실 모든 작물 고유의 특성을 본의 아니게 말살하는 방향으로 생산 형태가 변하고 있다고. 그들이 독자적으로 가지고 있어야 할 자양분이 결핍되는 방식으로 재배되고 있다고. 이것은 유기농이냐 아니냐의 차원보다 훨씬 심각한 농산물의 질적 위기라고.

 고작 7년 농사지어본 얼치기의 소견일 뿐이이지만, 가끔 아내 친구의 말을 떠올린다. 녹차 맛을 제대로 느끼려고 담배는 물론 술도 입에 대지 않는다는 것이다. 우리의 혀가 잃어버린 기능을 회복하려는 안간힘이다. 뭐 그렇게까지 편집적일 필요 있을까라고? 그렇다면 이 말이 좀 도움이 되겠다. '우리는 우리가 먹는 그 자체이다.’ 맛에 대해 성찰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어쨌거나 봄에는 미각뿐 아니라 효능면에서 약초보다 더 좋을지 모르는 봄나물을 먹어보자. 도시인들은 어찌 자란 놈들인지도 모르는 채 사 먹어야 하겠으나 우리 밭에는 지천이다. 하나씩 무순으로 호명해보면 다음과 같다.

 냉이, 달래, 쑥, 머위, 산부추, 산마늘, 오가피순, 엄나무순, 홑잎(화살나무), 고들빼기, 씀바귀, 민들레, 돌나물, 취나물(울릉취, 참취, 미역취, 곰취, 떡취-수리취-), 두릅, 땅두릅, 가죽, 참나물, 고사리, 고비, 원추리, 돌미나리, 당귀순, 도라지순, 더덕순, 방아잎, 뽕잎...


 
 
 
 



Baker

2013.04.28 07:52:21
*.52.33.161

저렇게 많은 봄나물이 저희 고향에 있었다니 믿어지지가 않네요. 제가 알고 있는건 고작 몇가지 안되네요..ㅎㅎ

들어 올 때 마다 항상 느끼는 거지만 글을 정말 편하게 쓰시는군요. 넘 부러워요...역시 작가님이라...

운영자

2013.05.03 08:42:56
*.182.246.134

우리 부부도 늘 신기해 합니다. 독특한 맛을 내는 나물들, 이 밖에도 더 있는 것 같습니다.ㅋㅋ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67 덤바우잡설 페이스북을 그만 둔 사연 들이 2014-09-14 22335
266 덤바우잡설 소쩍새가 울었다 들이 2014-04-19 22123
265 덤바우잡설 들, 안녕하십니까? 들이 2013-12-20 21714
264 덤바우잡설 이거 돼지고기 맞아? file [1] 들이 2013-11-27 29774
263 농사일보 자두야, 내년에 보자 file 들이 2013-07-02 28647
262 농업인과의 대화 이것은 또 다른 첨성대 file 들이 2013-06-11 18856
» 덤바우잡설 나물 전성시대 file [2] 들이 2013-04-23 110179
260 덤바우잡설 모래밭 진주는 가짜다 file 들이 2013-04-07 26039
259 농사일보 봄치레 file [4] 들이 2013-03-30 35805
258 농업인과의 대화 쪽빛 누리를 꿈꾸는 은빛 귀촌 들이 2013-03-09 19012
257 덤바우잡설 취중 農談 file [2] 들이 2013-03-04 29283
256 농사일보 이런 내 맘과는 달리 file [3] 들이 2013-02-22 34395